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/파이썬 언어 공부

파이썬 프로그래밍(3) - 문자열 인덱싱과 문자열 슬라이싱

#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

1. 정의

  인덱싱(indexing) : 무엇인가를 '가리킨다'

  슬라이싱(slicing) : 무엇인가를 '잘라낸다'

 

2. 문자열 인덱싱
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
  위 코드에서 변수 line에 저장한 문자열의 번호이다.

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
W e   a l w a y s   h a v e   t o   l e a r n  

  파이썬의 문자열은 0부터 시작하여 자리마다 번호를 붙인다. 즉, learn의 e를 찾는다면 19번을 찾으면 된다. 이를 코드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
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>>> line[19]
'e'

  또한 뒤에서부터 문자를 찾고 싶을 때가 있다. 그럴 땐 '-4'와 같이 '-'를 사용하여 찾을 수 있다.
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>>> line[-4]
'e'
>>> line[-8]
't'

  뒤에서부터 -1로 시작하여 문자를 찾을 수도 있다.

 

3. 문자열 슬라이싱

  한 문자만을 찾는 것이 아닌 단어나 문장들을 찾아낼 수도 있다.
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>>> line[0:2]
'We'

  변수명[시작_번호:끝_번호](ex) line[0:5])를 이용하면 가능하다. 그 외에도
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>>> line[3:]
'always have to learn'
>>> line[:3]
'We'
>>> line[:]
'We always have to learn'

   변수명[시작_번호: ], 변수명[ :끝_번호], 변수명[ : ]같이 생략을 하면 생략한 범위 모두를 찾아낼 수 있게 해 준다.

 

4. 슬라이싱으로 문자열 나누기
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>>> line1 = line[ :2]
>>> line1
'We'
>>> line = "We always have to learn"
>>> line2 = line[3:]
>>> line2
'always have to learn'

  다른 변수에 슬라이싱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.

 

 

 

(해당 자료는 '점프 투 파이썬'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)